윤리와 사상

과목 소개

고등학교 도덕과 일반 선택 과목인 ‘윤리와 사상’은 학생들이 한국 및 동·서양의 주요 윤리사상과 사회사상을 체계적 으로 학습하고 탐구하여, 윤리적 인식 능력과 성찰 능력을 심화하고 바람직한 윤리관을 정립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를 통해 성실, 배려, 정의, 책임의 핵심 가치들을 실현하고 올바른 인성을 함양하며 윤리적 삶을 살 수 있도록 지원한다. 삶 의 의미를 추구하는 주체이자 공공선에 기여하는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학생들은 한국 및 동·서양의 주요 윤리사상과 사 회사상을 학습함으로써 도덕적인 삶과 이상사회에 대한 여러 윤리적 관점들을 비교·이해할 수 있고, 이를 활용해 윤리적 관점에서 자신의 삶과 우리 사회를 성찰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현대 사회의 다양한 윤리적 문제들에 대한 자율적이 고 창의적인 문제해결능력을 함양할 수 있다.

내용 체계
영역 핵심 개념 내용 요소 일반화된 지식
인간과 윤리 사상 - 성실
- 배려
- 정의
- 책임
- 인간의 삶에서 윤리사상과 사회사상은 왜 필요한가?
- 우리의 삶에서 윤리사상과 사회사상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인간은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윤리의 준수를 통해 바람직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사회적 존재이다.
한국 및 동·서양의 윤리사상과 사회사상은 현대인들이 지향해야 할 도덕적인 인간상과 삶의 토대를 제공한다.
동양과 한국 윤리 사상 - 사상의 연원 : 인간의 행복과 질서를 실현하는 원리와 방법은 무엇인가?
- 인의 윤리 : 사랑(仁)에 기반을 둔 질서 있는 세상은 어떻게 해야 실현될 수 있을까?
- 도덕적 심성 : 한국유교는 인간의 도덕적 심성을 어떻게 이해하였는가?
- 자비의 윤리 : 괴로움에서 벗어나 자비를 실천할 수 있는 진정한 길은 무엇인가?
- 분쟁과 화합 : 가장 바람직한 분쟁 해결의 방식은 어떠한 것일까?
- 무위자연의 윤리 : 영원한 자유와 평등의 세계는 어떻게 해야 실현될 수 있을까?
- 현대 사회에서 한국과 동양윤리사상이 갖는 의의는 무엇일까?
동양과 한국의 연원적 윤리사상은 각각의 인간관에 기초하여 인간의 행복과 사회적 질서를 실현하는 원리와 방법을 제시하였다.
사람에 대한 사랑인 인(仁)을 강조하는 동양의 유교사상은 도덕의 성립 근거와 도덕법칙의 탐구 방법에 대해 상대되는 접근법과 입장을 지닌 학설들로 전개되었다.
한국유교는 인간의 선한 마음의 규명과 그 실천 방법에 대해 깊이 탐구한 조선성리학으로 발전되었고, 성리학의 사변 철학적 한계는 실증적·실용적 성격의 실학을 통해 비판되었다.
불교사상은 모든 것들이 서로 의존하는 관계 속에 있다는 깨달음을 통해 고통에서 벗어난 열반을 추구하고, 대중에 대한 자비의 실천을 강조하는 대승불교로 발전하였다.
한국불교는 모든 것이 마음에서 비롯된다는 깨달음을 기반으로 서로 대립하는 다양한 관점들의 조화를 추구하였고, 선교 통합의 방법을 통해 소통과 실천성을 더욱 강화하였다.
도를 따르는 삶을 추구한 도가사상은 정신적 자유와 만물의 평등을 강조한 장자 사상으로 심화되는 한편, 도교의 성립에 영향을 미쳤고, 도교는 한국 고유사상과 융합하여 우리의 전통과 문화를 형성하였다.
한국 전통윤리사상은 근대의 격변기에 대처해서 다양한 발전 노력을 경주하였고, 동양윤리사상이 지향한 이상적 인간상은 오늘날의 올바른 자아 완성과 도덕적 사회 구현을 위한 규범 및 가치의 원천을 제공한다.
서양윤리사상 - 사상의 연원 : 보편성의 윤리는 어디에서 기원했는가?
- 덕 : 덕 있는 삶이란 무엇인가?
- 행복 추구의 방법 : 쾌락의 추구를 통해 행복을 달성할 수 있는가?
- 신앙 : 진정한 신앙이란 무엇인가?
- 도덕의 기초 : 도덕적 판단과 행동의 근거는 무엇인가?
- 옳고 그름의 기준 :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기준은 무엇인가?
- 현대의 윤리적 삶 : 주체적실존인가, 실용적 문제 해결인가?
서양윤리사상은 고대 그리스 사상과 헤브라이즘에서 기원하였고, 고대 그리스 사상은 상대주의 윤리를 극복하고 보편주의 윤리를 수립하는 과정을 통해 형성되었다.
성숙한 인격과 자아실현을 지향하는 덕 있는 삶은 그 자체로 보상받는 행복한 삶이다.
육체의 고통과 마음의 동요가 없는 평정심을 가지거나 정념의 방해에도 흔들리지 않는 부동심을 가짐으로써 행복한 삶의 이상에 도달할 수 있다.
율법의 준수를 넘어서 선한 심성을 바탕으로 사랑을 실천하고 인간의 본성을 실현함으로써 지복에 이를 수 있다.
옳고 그름을 분별할 수 있는 이성과 타인의 상황에 공감할 수 있는 감정은 주체의 올바른 도덕적 판단과 행동의 원천이 된다.
행위의 옳고 그름의 기준은 선의지에서 비롯되는 도덕적 의무를 강조하는 의무론의 입장과 행위의 결과가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산출하는지 여부를 고려하는 결과론의 입장으로 구분할 수 있다.
자기 책임 하의 주체적 결단을 통해 실존적 삶을, 실용적인 문제 해결을 지향하는 도덕을 통해 도덕의 진보와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
사회사상 - 사회사상 : 이상사회는 가능한가?
- 국가 : 목적인가? 수단인가?
- 시민 : 개체적 존재인가? 사회적 존재인가?
- 민주주의 : 민주주의의 이상은 어떻게 실현될 수 있는가?
- 자본주의 : 자본주의의 원리와 현실의 문제는 무엇인가?
- 평화 : 세계 시민과 세계 평화는 실현가능한가?
사회사상은 사회에 대한 체계적인 설명과 평가에 기초하여 인간의 더 나은 삶을 위한 이상사회를 기획하고 그 실천방법을 제시한다.
국가를 구성원들의 도덕 공동체로 간주한 전근대사회와는 달리 근대사회는 국가를 개인의 존재와 이익 보존을 위한 결사체로 인식하였다.
현대의 다원주의 사회는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보장하고 공동체 구성원들 간의 자율적 연대를 통해 개인선과 공동선의 조화를 추구한다.
근대의 민주주의 사상은 인간의 존엄, 자유, 평등을 지향하며 현대사회에서 시민의 참여와 소통을 강화하려는 노력으로 이어지고 있다.
자본주의는 사적 재산 소유권과 자유 시장 경제를 보장하여 개인의 자유 실현을 위한 사회적 토대로서 발전해 왔으나,물질만능주의, 사회 양극화, 인간 소외 등의 문제를 낳고 있다.
세계 평화의 실현을 위해 지구적 차원의 가치 규범과 시민윤리에 기초한 범세계적 노력이 요구된다.
과목 관련 정보
관련 학과 관련 직업
윤리교육학과, 철학과, 사회복지학과, 문화인류학과, 사회 학과, 국제 관련 학과 등 도덕(윤리) 교사, 교양 과목 교사 및 철학과 교수, 상담 사, 종교 지도자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