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사’는 일반계 고등학교나 과학 계열 고등학교에서 과학에 흥미와 관심이 있는 학생을 대상으로 하며, 과학사를 학 습함으로써 과학의 본성 및 사회적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과목이다. 이 과목의 학습을 통해 올바른 과학자상을 정립하고 과학·기술·사회의 관계를 이해하도록 한다.
영역 | 핵심 개념 | 내용 요소 | 일반화된 지식 |
---|---|---|---|
과학이란 무엇인가? | 과학의 본성 | - 과학과 자연의 관계 - 과학의 객관성 |
과학은 다른 학문과는 차별되는 본성을 가지고 있다. |
과학에 대한 철학적 접근 | - 베이컨의 귀납 주의 - 포퍼의 반증 주의 - 쿤의 과학 혁명 |
과학에 대한 철학적 접근을 통해 과학을 이해할 수 있다. | |
과학에 대한 역사적 접근 | - 내적 접근과 외적 접근 | 과학에 대한 역사적 접근을 통해 과학을 이해할 수 있다. | |
서양 과학사 | 고대 및 중세의 과학 | - 고대의 서양 과학 - 이슬람 및 중세의 서양 과학 |
고대에는 지중해를 중심으로 과학이 태동되었다. |
과학 혁명 | - 르네상스와 과학 혁명 - 천문학의 혁명 - 갈릴레이의 과학 - 뉴턴의 고전 역학 혁명 - 과학 혁명의 사회적 영향 |
르네상스 시대 과학 혁명은 많은 사회 변화를 가져왔다. | |
근대의 과학 | - 근대의 화학 혁명 - 생물학 혁명 - 열역학의 태동 - 빛의 본질에 대한 광학 연구 - 전자기학의 성립 - 지질학의 성립 |
근대에는 과학의 여러 분야 들이 정립되었다. | |
현대의 과학 | - 상대성 이론과 양자 역학 - 현대 화학의 발전 - 생물학에서의 유전 연구 - 현대 지구과학의 발전 |
현대 과학은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 |
동양 및 한국 과학사 | 동야 과학사 | - 동양의 전통 과학 - 동야의 근대 과학 |
중국을 중심으로 동양 과학사가 발전하였다. |
한국 과학사 | - 한국의 전통 및 근대 과학 - 현대 과학과 한국 |
우리나라의 과학은 삼국 시대를 시작으로 발전하였으며, 현재 세계적 수준의 과학 위상을 가지고 있다. | |
과학과 현대사회 | 과학과 사회의 관계 | - 과학과 다른 영역(윤리, 종교, 정치, 문화 등)과의 관계 - 과학, 기술, 사회 |
과학은 윤리, 종교, 정치, 문화 등과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
관련 학과 | 관련 직업 |
---|---|
초등교육학, 물리교육학, 화학교육학, 생물교육학, 지구과 학교육학, 물리학, 화학, 생명과학, 지구과학, 정보통신공 학, 경영학, 경제학, 공학계열, 자연계열, 사회과학, 법학 | 교사, 과학철학자, 자연계 사범 계열 교수 및 연구자 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