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 도덕과 일반 선택 과목인 ‘윤리와 사상’은 학생들이 한국 및 동·서양의 주요 윤리사상과 사회사상을 체계적 으로 학습하고 탐구하여, 윤리적 인식 능력과 성찰 능력을 심화하고 바람직한 윤리관을 정립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를 통해 성실, 배려, 정의, 책임의 핵심 가치들을 실현하고 올바른 인성을 함양하며 윤리적 삶을 살 수 있도록 지원한다. 삶 의 의미를 추구하는 주체이자 공공선에 기여하는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학생들은 한국 및 동·서양의 주요 윤리사상과 사 회사상을 학습함으로써 도덕적인 삶과 이상사회에 대한 여러 윤리적 관점들을 비교·이해할 수 있고, 이를 활용해 윤리적 관점에서 자신의 삶과 우리 사회를 성찰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현대 사회의 다양한 윤리적 문제들에 대한 자율적이 고 창의적인 문제해결능력을 함양할 수 있다.
영역 | 핵심 개념 | 내용 요소 | 일반화된 지식 |
---|---|---|---|
인간과 윤리 사상 | - 성실 - 배려 - 정의 - 책임 |
- 인간의 삶에서 윤리사상과 사회사상은 왜 필요한가? - 우리의 삶에서 윤리사상과 사회사상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
인간은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윤리의 준수를 통해 바람직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사회적 존재이다. |
한국 및 동·서양의 윤리사상과 사회사상은 현대인들이 지향해야 할 도덕적인 인간상과 삶의 토대를 제공한다. | |||
동양과 한국 윤리 사상 | - 사상의 연원 : 인간의
행복과 질서를 실현하는 원리와 방법은 무엇인가? - 인의 윤리 : 사랑(仁)에 기반을 둔 질서 있는 세상은 어떻게 해야 실현될 수 있을까? - 도덕적 심성 : 한국유교는 인간의 도덕적 심성을 어떻게 이해하였는가? - 자비의 윤리 : 괴로움에서 벗어나 자비를 실천할 수 있는 진정한 길은 무엇인가? - 분쟁과 화합 : 가장 바람직한 분쟁 해결의 방식은 어떠한 것일까? - 무위자연의 윤리 : 영원한 자유와 평등의 세계는 어떻게 해야 실현될 수 있을까? - 현대 사회에서 한국과 동양윤리사상이 갖는 의의는 무엇일까? |
동양과 한국의 연원적 윤리사상은 각각의 인간관에 기초하여 인간의 행복과 사회적 질서를 실현하는 원리와 방법을 제시하였다. | |
사람에 대한 사랑인 인(仁)을 강조하는 동양의 유교사상은 도덕의 성립 근거와 도덕법칙의 탐구 방법에 대해 상대되는 접근법과 입장을 지닌 학설들로 전개되었다. | |||
한국유교는 인간의 선한 마음의 규명과 그 실천 방법에 대해 깊이 탐구한 조선성리학으로 발전되었고, 성리학의 사변 철학적 한계는 실증적·실용적 성격의 실학을 통해 비판되었다. | |||
불교사상은 모든 것들이 서로 의존하는 관계 속에 있다는 깨달음을 통해 고통에서 벗어난 열반을 추구하고, 대중에 대한 자비의 실천을 강조하는 대승불교로 발전하였다. | |||
한국불교는 모든 것이 마음에서 비롯된다는 깨달음을 기반으로 서로 대립하는 다양한 관점들의 조화를 추구하였고, 선교 통합의 방법을 통해 소통과 실천성을 더욱 강화하였다. | |||
도를 따르는 삶을 추구한 도가사상은 정신적 자유와 만물의 평등을 강조한 장자 사상으로 심화되는 한편, 도교의 성립에 영향을 미쳤고, 도교는 한국 고유사상과 융합하여 우리의 전통과 문화를 형성하였다. | |||
한국 전통윤리사상은 근대의 격변기에 대처해서 다양한 발전 노력을 경주하였고, 동양윤리사상이 지향한 이상적 인간상은 오늘날의 올바른 자아 완성과 도덕적 사회 구현을 위한 규범 및 가치의 원천을 제공한다. | |||
서양윤리사상 |
- 사상의 연원 : 보편성의
윤리는 어디에서 기원했는가? - 덕 : 덕 있는 삶이란 무엇인가? - 행복 추구의 방법 : 쾌락의 추구를 통해 행복을 달성할 수 있는가? - 신앙 : 진정한 신앙이란 무엇인가? - 도덕의 기초 : 도덕적 판단과 행동의 근거는 무엇인가? - 옳고 그름의 기준 :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기준은 무엇인가? - 현대의 윤리적 삶 : 주체적실존인가, 실용적 문제 해결인가? |
서양윤리사상은 고대 그리스 사상과 헤브라이즘에서 기원하였고, 고대 그리스 사상은 상대주의 윤리를 극복하고 보편주의 윤리를 수립하는 과정을 통해 형성되었다. | |
성숙한 인격과 자아실현을 지향하는 덕 있는 삶은 그 자체로 보상받는 행복한 삶이다. | |||
육체의 고통과 마음의 동요가 없는 평정심을 가지거나 정념의 방해에도 흔들리지 않는 부동심을 가짐으로써 행복한 삶의 이상에 도달할 수 있다. | |||
율법의 준수를 넘어서 선한 심성을 바탕으로 사랑을 실천하고 인간의 본성을 실현함으로써 지복에 이를 수 있다. | |||
옳고 그름을 분별할 수 있는 이성과 타인의 상황에 공감할 수 있는 감정은 주체의 올바른 도덕적 판단과 행동의 원천이 된다. | |||
행위의 옳고 그름의 기준은 선의지에서 비롯되는 도덕적 의무를 강조하는 의무론의 입장과 행위의 결과가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산출하는지 여부를 고려하는 결과론의 입장으로 구분할 수 있다. | |||
자기 책임 하의 주체적 결단을 통해 실존적 삶을, 실용적인 문제 해결을 지향하는 도덕을 통해 도덕의 진보와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 | |||
사회사상 | - 사회사상 : 이상사회는
가능한가? - 국가 : 목적인가? 수단인가? - 시민 : 개체적 존재인가? 사회적 존재인가? - 민주주의 : 민주주의의 이상은 어떻게 실현될 수 있는가? - 자본주의 : 자본주의의 원리와 현실의 문제는 무엇인가? - 평화 : 세계 시민과 세계 평화는 실현가능한가? |
사회사상은 사회에 대한 체계적인 설명과 평가에 기초하여 인간의 더 나은 삶을 위한 이상사회를 기획하고 그 실천방법을 제시한다. | |
국가를 구성원들의 도덕 공동체로 간주한 전근대사회와는 달리 근대사회는 국가를 개인의 존재와 이익 보존을 위한 결사체로 인식하였다. | |||
현대의 다원주의 사회는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보장하고 공동체 구성원들 간의 자율적 연대를 통해 개인선과 공동선의 조화를 추구한다. | |||
근대의 민주주의 사상은 인간의 존엄, 자유, 평등을 지향하며 현대사회에서 시민의 참여와 소통을 강화하려는 노력으로 이어지고 있다. | |||
자본주의는 사적 재산 소유권과 자유 시장 경제를 보장하여 개인의 자유 실현을 위한 사회적 토대로서 발전해 왔으나,물질만능주의, 사회 양극화, 인간 소외 등의 문제를 낳고 있다. | |||
세계 평화의 실현을 위해 지구적 차원의 가치 규범과 시민윤리에 기초한 범세계적 노력이 요구된다. |
관련 학과 | 관련 직업 |
---|---|
윤리교육학과, 철학과, 사회복지학과, 문화인류학과, 사회 학과, 국제 관련 학과 등 | 도덕(윤리) 교사, 교양 과목 교사 및 철학과 교수, 상담 사, 종교 지도자 등 |